통합 검색

LIFE STYLE MORE+

한글로 선물하세요

올해로 한글 창제 579돌을 맞는다. 한글을 새겨 선물하기 좋고 유용하기까지 한 예쁜 물품을 모았다.

UpdatedOn September 22, 2022

3 / 10
/upload/ktx/article/202209/thumb/51954-497350-sample.jpg

 

한글 자음 양말_국립중앙박물관 뮤지엄숍

양말과 한글의 조합이 꾸민 듯 안 꾸민 자연스러운 매력을 선사한다. 발목 양말 앞면에 자음 ‘ㅊ’ ‘ㅇ’ ‘ㅍ’을 크게 넣었다. 각 자음은 창제, 배움, 전파를 의미한다. 한글이 걸어온 발자취를 전달하기 위해 양말이라는 아이템을 선정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2020년 한글 산업화 기반 조성 사업의 일환인 제6회 한글 창의산업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이다.
홈페이지 www.museumshop.or.kr

 

 

3 / 10
/upload/ktx/article/202209/thumb/51954-497353-sample.jpg

 

훈민정음 가갸날 1443 소포 세트_자화상

백성을 위해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마음을 생각하며 만든 문구 패키지다. <훈민정음 해례본> 내용을 풀어낸 나랏말미 책, 훈민정음 문구를 각인한 볼펜과 책갈피, 공책, <훈민정음 언해본>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엽서 20장까지 두 손이 가득 차는 구성이다. 눈으로 읽고, 손으로 쓰고, 편지를 보내는 방법으로 한글날을 특별하게 기억한다.
홈페이지 www.goodsshop.gift

 

3 / 10
/upload/ktx/article/202209/thumb/51954-497352-sample.jpg

 

원목 시계 한시_쿼터노트

시계에 숫자가 없어졌다. 그 대신 한글 25자가 5분 단위로 시각을 나타낸다. 오전과 오후가 아닌 낮, 밤으로 표현한 점도 특이하다. 시는 1행부터 3행, 분은 4행부터 5행에 표시되고, 시계를 읽을 때는 위 왼쪽에서 아래 오른쪽으로 내려오며 읽는다. 읽는 그대로 시각을 알 수 있어 시계를 읽기 어려운 사람이나 한글을 배우는 외국인에게 선물하기 좋다.
홈페이지 www.qnshop.co.kr

 

 

3 / 10
/upload/ktx/article/202209/thumb/51954-497351-sample.jpg

 

한글 병따개 자석_퍼니피쉬

평범한 소품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녹여 냈다. ‘달’ ‘별’ ‘꽃’ 글자가 각각 병따개로 거듭난 것이다. 세 단어 모두 ‘따다’라는 말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해 오래 사용해도 녹슬지 않는다. 종이처럼 가벼운 것들을 누르는 문진으로 활용해도 좋다. 독특하고 감성 있는 디자인으로 한국을 방문한 국빈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홈페이지 www.funnyfishstore.com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남혜림

RELATED STORIES

  • LIFE STYLE

    철도 승차권 발매, 더욱 빠르고 보다 간편하게

    이제 외국인도 자국 앱을 통해 한국 철도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여객마케팅처 이승복 부장에게 예매·결제·발권 시스템 이야기를 들었다.

  • LIFE STYLE

    밀양의 진심

    성실하게 만들어 건네주는 경남 밀양의 상품들이 이 고을을 오래 기억하게 한다.

  • LIFE STYLE

    막걸리 신세계

    톡톡 튀는 매력에 맛과 색까지 다양한 막걸리에 취한다. 네 명의 에디터가 지역의 특이한 막걸리를 모아 마셔 봤다.

  • LIFE STYLE

    디저트는 ‘힙’하고 성수동은 달콤해요

    어제도 오늘도 뜨거운 서울 성수동의 디저트 가게를 찾았다. 맛은 기본, 아기자기한 외관까지 사랑스럽다.

  • LIFE STYLE

    미지의 김치를 찾아서

    서울 안국동 골목, 최적의 김치 숙성 온도인 6.5도를 상호로 삼은 한식 타파스 와인 바 ‘온6.5’가 들어섰다. 그곳에서 온갖 재료로 김치를 담그는 이승미 명인과 김치로 온갖 요리를 시도하는 이정수 셰프를 만났다.

MORE FROM KTX

  • CULTURE

    기계의 풍경, 인간의 꿈 최우람

    꿈틀거리는 기계 생명체 작품을 창조해 온 최우람은 이야기한다. 기계에 어린 욕망을 바로 보면서 우리 함께 나아가자고.

  • CULTURE

    ‘춘풍’

  • ISSUE

    '테마 여행' 전남 신안

  • TRAVEL

    빛, 온기, 울주

    간절곶에서 해가 떠오르자 어둡던 모든 땅이 밝아졌다. 울산 울주가 날마다 세상에 전하는 이야기를 들었다.

  • LIFE STYLE

    철도 위의 등대, 철도교통관제센터

    비바람이 불어닥쳐도 여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안전한 열차 운행을 책임지는 곳, 한국철도공사 철도교통관제센터 조현우 관제사의 하루를 지켜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