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조선 왕조의 기본 법전 '경국대전'

UpdatedOn September 23, 2022

3 / 10
/upload/ktx/article/202209/thumb/51973-497480-sample.jpg

 

‘나라를 경영하는 큰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가 편찬을 명하고 성종 대인 1485년에 완성했다. 1397년 제1대 왕인 태조가 법치주의 이념을 담은 <경제육전>을 공포했는데, 이것과 그 뒤의 법령을 종합해 만든 것이 <경국대전>이다. 안타깝게도 <경제육전> 등 이전의 법령은 현재 전하지 않아, <경국대전>이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이다. <경국대전>은 관제(官制), 재정, 관리 선발과 외교, 예제(禮制), 군제(軍制)와 형벌, 토목과 산업 등을 규정한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일부 법령이 고쳐지거나 없어지기도 했지만, 법전은 법치주의와 개인의 생명, 사유재산 보호 등 조선의 기본 통치 규범을 유지했다. 1485년에 공포 시행된 것을 바탕으로 1486년에 금속활자로 펴낸 것이 전하며, 이후 이 활자본을 다시 새긴 목판본으로 간행된 것이 대다수다. <경국대전>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조선1실에서 만날 수 있다.
문의 02-2077-9000 홈페이지 www.museum.go.kr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riter 김동우(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RELATED STORIES

  • CULTURE

    영원한 삶을 위한 선물 - 상형 토기

  • CULTURE

    세상 끝 다정한 바다

    소설 <재와 물거품>으로 이름을 알린 김청귤 작가가 연작소설 <해저도시 타코야키>로 돌아왔다. 그가 상상하는 환상적인 세계에 대해 물었다.

  • CULTURE

    게임 음악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단순한 비트로 이뤄지던 게임 음악이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진화했다. 예술로 거듭난 게임 음악 세계를 파헤친다.

  • CULTURE

    아이는 우리의 희망 - 김홍도의 ‘자리 짜기’

  • CULTURE

    비누, 사라짐으로써 존재하기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박제한다. 더없이 찬란한 지금을 위해, 신미경은 비누라는 이름의 시간을 조각한다.

MORE FROM KTX

  • CULTURE

    묵묵하게 담담하게, 강미선

    수묵화가 강미선은 마음의 풍경을 시간과 자연이라는 화폭에 내놓는다.

  • ISSUE

    '이 계절 이 여행' 경남 함안

  • LIFE STYLE

    역사 찍고 풍경 찍는 군산 스탬프 여행

    근대 역사의 흔적, 금강과 서해 풍경이 다채로운 전북 군산 여행이 스탬프 투어로 더 만족스럽다.

  • ARTICLE

    장항은 오늘도 진행형

    장항선 종착지였던 옛 장항역이 장항도시탐험역으로 부활했다.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충남 서천 장항읍에서 자전거 타고 시간을 달렸다.

  • TRAVEL

    모두가 동등해지는 공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과 성평등을 생각하는 공간을 찾았다. 전쟁과 폭력,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더 나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