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빛의 향연

UpdatedOn March 25, 2022

/upload/ktx/article/202203/thumb/50540-483016-sample.jpg

빛의 향연

- 예산 수덕사 괘불

괘불은 큰 법회나 야외에서 불교 의식을 거행할 때 걸어두는 대형 불화다. 모인 사람이 어디에서든 볼 수 있도록 작게는 4~5미터, 크게는 10미터 넘는 화폭에 불화를 그렸다. 불교 사상과 교리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괘불을 마주하면 강렬한 전율이 인다. 1673년(현종 14년)에 조성한 ‘예산 수덕사 괘불’은 화면 바깥을 꾸미는 장황을 포함한 전체 높이가 10미터에 달하는 대작이다. 바탕에는 신비로운 빛이 갖가지 색으로 피어나고, 장엄한 부처를 향해 모여드는 이들이 화면에 가득하다. 부처뿐 아니라 보살과 제자들, 그 가르침을 수호하는 수많은 신의 존재는 서양 신화 속 신들만큼이나 다채롭다. 수묵화처럼 담백할 듯한 조선의 불교문화에도 이처럼 화려한 괘불이 전해져 왔다. 4월 13일부터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빛의 향연-예산 수덕사 괘불>전에서 우리를 한순간에 압도하는 괘불을 만날 수 있다.
문의 02-2077-9000, www.museum.go.kr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riter 유수란(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RELATED STORIES

  • CULTURE

    영원한 삶을 위한 선물 - 상형 토기

  • CULTURE

    세상 끝 다정한 바다

    소설 <재와 물거품>으로 이름을 알린 김청귤 작가가 연작소설 <해저도시 타코야키>로 돌아왔다. 그가 상상하는 환상적인 세계에 대해 물었다.

  • CULTURE

    게임 음악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단순한 비트로 이뤄지던 게임 음악이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진화했다. 예술로 거듭난 게임 음악 세계를 파헤친다.

  • CULTURE

    아이는 우리의 희망 - 김홍도의 ‘자리 짜기’

  • CULTURE

    비누, 사라짐으로써 존재하기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박제한다. 더없이 찬란한 지금을 위해, 신미경은 비누라는 이름의 시간을 조각한다.

MORE FROM KTX

  • CULTURE

    보름달을 닮은 백자 '달항아리'

  • CULTURE

    편지에게

    이토록 내밀하고도 아름다운 편지의 물결 속에서 당신에게 열다섯 권의 ‘편지책’을 권합니다.

  • CULTURE

    스타트업 라이언스 캠퍼스

    아프리카 케냐 메마른 땅에서 청년들의 꿈이 싹을 틔웠다. 지역과 함께하는 건축을 자양분 삼아서.

  • TRAVEL

    영월이 그대에게

    숲이 우거지고 강이 굽이도는 곳, 강원도 영월은 들려준다. 슬프고 기쁘게 제 품에 깃들여 산 생명들의 길고 긴 이야기를.

  • LIFE STYLE

    철도 승차권 발매, 더욱 빠르고 보다 간편하게

    이제 외국인도 자국 앱을 통해 한국 철도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여객마케팅처 이승복 부장에게 예매·결제·발권 시스템 이야기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