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400년을 간직한 맛 부시밀

영국 아일랜드의 한 증류소가 1608년 영국 왕에게 위스키 제조 허가를 받았다. 아이리시위스키, 아니 위스키의 역사가 바로 그때 시작되었다. 이게 바로 부시밀이다.

UpdatedOn February 25, 2022

3 / 10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29-sample.jpg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32-sample.jpg

ⓒ Bushmills

“가장 오래되어서 최고가 아니다. 최고이기에 가장 오래되었다.” 우리는 부시밀 마스터 디스틸러인 콜럼 에건의 이 말을 믿을 수밖에 없다. 1608년에 세계 최초로 증류 면허를 받아 지금껏 400년 넘는 세월 위스키를 만들어 온 부시밀 아닌가. 조선 시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고, 영국에선 셰익스피어가 <리어왕>을 발표한 해와 같다는 표현 정도로는 부시밀의 기념비적 의미를 설명하지 못한다. 가장 오래된 위스키의 기록을 매일 경신하는 이유를 알고 싶다면 숫자는 잊고 당장 부시밀을 열어 보자. 값비싼 셰리 캐스크에서 숙성해 더 그윽한 과일 향이 감미로이 번진다. 위스키가 글라스 벽을 타고 내려오는 자국, ‘위스키의 눈물’이라 부르는 레그가 그림 같은 흔적을 남긴다. 황홀할 만큼 부드러운 목 넘김 뒤에도 계속 입안을 감도는 향기. 이미 숫자는 망각했다. 오직 부시밀 세 글자가 뚜렷하다. 400년 넘는 세월 동안 이 위스키를 맛본 대부분이, 아주 조금 과장해 모두가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오늘날 세계 위스키 시장을 주름잡는 지역은 영국 스코틀랜드와 미국이다. 각각 스카치위스키, 버번위스키를 제조하는 두 지역에선 맥캘란, 발렌타인, 조니 워커, 와일드 터키, 버팔로 트레이스처럼 이름부터 심장을 강타하는 걸작이 대거 탄생했다. 시장을 양분하다시피 흥행하는 두 지역 위스키 사이에서, 현재 영국 아일랜드의 아이리시위스키는 하루가 다르게 존재감을 키우는 중이다. 하지만 주의해야 한다. 매출 실적 따위와는 별개로 그런 표현은 아일랜드 사람에게 무례하게 들릴 테니 말이다. 위스키 좀 아는 마니아에게도 코웃음 나오는 표현인 건 매한가지다. 아일랜드는 구전과 기록을 종합해 지구에서 가장 먼저 위스키를 만들고 즐긴 나라로 추정된다. 11세기경 수도사들이 지중해에서 증류 기술을 들여온 이야기, 13세기 아쿠아 비타(생명의 물)를 마신 병사들이 용맹하게 싸웠다는 이야기, 15세기 한 수도원의 아무개가 과음 끝에 유명을 달리했다는 이야기 등등. 지구에서 최초인지는 역사학자가 밝힐 문제이나, 아일랜드 사람들이 어떤 민족보다 위스키를 사랑하고 장기적으로 즐겨 왔다는 사실은 밝힐 필요 없는 정설이다. 

3 / 10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28-sample.jpg

 

3 / 10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31-sample.jpg

북아일랜드 앤트림주 부시강의 맑은 물로 만드는 부시밀은 샌프란시스코 월드 스피릿 컴피티션 등 세계 유수 주류 품평 대회를 석권하면서 대중과 비평가에게 찬사를 받고 있다.

북아일랜드 앤트림주 부시강의 맑은 물로 만드는 부시밀은 샌프란시스코 월드 스피릿 컴피티션 등 세계 유수 주류 품평 대회를 석권하면서 대중과 비평가에게 찬사를 받고 있다.

3 / 10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30-sample.jpg

 

아이리시위스키의 역사, 부시밀

그럼에도 누군가가 아이리시위스키에 대해 반박 불가능한 사실 하나만 내놓아 봐라 하거든 부시밀로 대답하면 된다. 전술했듯 1608년, 지금의 북아일랜드 앤트림주 자그마한 마을 한 증류소가 영국 왕 제임스 1세에게 위스키 증류 허가를 얻어 낸다. 스카치위스키보다 200년 앞서 면허를 받은 증류소는 복잡한 국제 관계 속에서 밀주가 성행하던 시대에 당당하게 위스키를 빚었다. 마을 주민이 힘을 합쳐 현무암 암반 위를 흐르는 부시강의 맑은 물로 빚은 위스키는 18세기 아이리시위스키의 부흥을 이끈다. 부시밀에서 정식 출발한 아이리시위스키가 날로 명성을 쌓아 1700년대 중반 아일랜드에만 무려 1200여 곳의 증류소가 있었을 정도로 대호황을 맞이했다. 치열해진 경쟁 탓에 증류소들이 질 낮은 위스키를 양산하고, 20세기 들어서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 영국과의 무역 마찰, 미국 금주법 등으로 위스키 산업이 치명적 타격을 받는 중에도 부시밀 증류소는 꿋꿋하게 운영을 이어갔다.

수백 년간 중첩된 변화로 인해 1960년대 아일랜드엔 오직 두 개의 위스키 회사만 살아남았으며, 1972년에는 결국 한 곳만 아이리시위스키의 명맥을 잇게 되었다. 증류소들이 분열되고 통합하는 고단한 시대가 마무리된 오늘날, 아이리시위스키는 또 한 번의 부흥기를 준비하고 있다. 이제 다양한 브랜드를 선보이는 아일랜드 증류소 가운데 부시밀은 단연 돋보인다. 두 번 증류하는 스카치위스키와 다르게 세 번 증류해 향이 부드럽고, 특수 효모를 입힌 셰리 캐스크에서 숙성하기에 맛은 더없이 풍부한 부시밀. 맛보는 순간 망각해 버린 400여 년 역사를 굳이 떠올려 보면서 천년의 부시밀을 상상한다. 그때도 아일랜드 작은 마을 증류소의 마스터 디스틸러는 말할 것이다. “가장 오래되어서 최고가 아니다. 최고이기에 가장 오래되었다.”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305-480533-sample.jpg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규보

RELATED STORIES

  • CULTURE

    영원한 삶을 위한 선물 - 상형 토기

  • CULTURE

    세상 끝 다정한 바다

    소설 <재와 물거품>으로 이름을 알린 김청귤 작가가 연작소설 <해저도시 타코야키>로 돌아왔다. 그가 상상하는 환상적인 세계에 대해 물었다.

  • CULTURE

    게임 음악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단순한 비트로 이뤄지던 게임 음악이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진화했다. 예술로 거듭난 게임 음악 세계를 파헤친다.

  • CULTURE

    아이는 우리의 희망 - 김홍도의 ‘자리 짜기’

  • CULTURE

    비누, 사라짐으로써 존재하기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박제한다. 더없이 찬란한 지금을 위해, 신미경은 비누라는 이름의 시간을 조각한다.

MORE FROM KTX

  • CULTURE

    세상 끝 다정한 바다

    소설 <재와 물거품>으로 이름을 알린 김청귤 작가가 연작소설 <해저도시 타코야키>로 돌아왔다. 그가 상상하는 환상적인 세계에 대해 물었다.

  • LIFE STYLE

    남영역에서 서울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 남영역부터 서울역에 이르는 좁다란 골목을 산책했다. 길 위에서 발견한 다섯 가지 즐거움을 펼친다.

  • ARTICLE

    따스한 소리가 들리는

    한국 마지막 비둘기호가 달린 강원도 정선선. 지금도 나전역은 마음 다독이는 소리가 울린다.

  • CULTURE

    작은 생물과 정을 나누는 ‘생물인’ 유튜버 정브르

    지난해 11월 <정브르의 곤충일기>를 펴낸 유튜버 정브르와 이야기를 나눴다.

  • LIFE STYLE

    안전하고 든든한 역무실로 오세요

    기차 여행을 떠나기 전이나 기차에서 내린 뒤 위급 상황이 발생한다면? 대전충청본부 오송역 소속 김명신 역무팀장과 배소형 역무원을 만나 안전한 기차 여행을 책임지는 역무실 생활에 대해 들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