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황혼(Crépuscule)’

UpdatedOn February 25, 2022

3 / 10
/upload/ktx/article/202202/thumb/50299-480483-sample.jpg

‘황혼’, 2015(2021년 재제작), 전구, 가변 크기, 작가 소장

‘황혼’, 2015(2021년 재제작), 전구, 가변 크기, 작가 소장

‘황혼(Crépuscule)’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불이 켜진 전구와 꺼진 전구가 있다. 합쳐서 165개. 전구에 연결된 전선들은 전시실 한편에서 모인다. 저곳이 뿌리라면 전구는 전선이라는 가지에 핀 열매가 된다. 이건 나서 성장하고 어울리는 생명에 관한 작품이지 않을까. 그런데 불이 꺼진 전구가 있는 것이다. 전시 막바지인 현재 꺼진 전구가 더 많다. 전시 기간에 불빛은 매일 하나씩 사라지고, 마지막엔 모든 전구가 꺼진다. 그때 이곳은 완전한 어둠이다. 이건 생명에 관한 작품이며, 생명은 반드시 끝을 맞는다. 프랑스 작가 크리스티앙 볼탕스키도 지난해 7월 14일 영면했다. 그는 죽기 직전 ‘황혼’을 포함해 43점을 선정하고 부산시립미술관 전시 공간을 직접 구성했다. 뜻하지 않았지만 유작전이 된 전시, 오늘도 ‘황혼’의 불빛이 하나 사라졌다. 하지만 삶은 계속된다. 죽음도 삶이기에. 크리스티앙 볼탕스키의 예술과 죽음을 작품에서 들여다보는 지금, 그는 우리와 함께한다. 이건 반드시 끝을 맞는 생명에 관한 작품이며, 끝나도 삶은 영원할 수 있다.

* 부산시립미술관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4.4>전, 3월 27일까지. 문의 051-744-2602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규보

RELATED STORIES

  • CULTURE

    한국의 보물

  • CULTURE

    불굴의 위스키 에드라두어

    갖은 역경을 극복해 온 에드라두어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증류소 중 하나이자 가장 위대한 증류소다.

  • CULTURE

    물처럼 예술처럼, 광주비엔날레

    부드럽고 여린 물방울이 모여 바위를 뚫고 길을 낸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의 지휘를 맡은 이숙경 예술감독은 예술이 곧 물 같은 존재라고 믿는다.

  • CULTURE

    상형청자의 절정 -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 CULTURE

    발상의 전환, 위스키의 새 길

    아열대기후에선 위스키 주조가 불가능하다? 카발란은 편견을 깨뜨리고 최고 반열에 올랐다.

MORE FROM KTX

  • LIFE STYLE

    무궁무진, 커피의 변신

    커피도 취향 따라 마신다. 에스프레소부터 칵테일까지 색다른 모습의 커피를 찾으러 부산 중구로 떠난다.

  • CULTURE

    네 송이 장미의 유혹 '포 로지스'

    가슴에 장미를 품은 포 로지스는 버번위스키 특유의 거친 풍미를 간직하면서도 부드럽게 어리는 향기로 전 세계 위스키 마니아에게 사랑받는다.

  • TRAVEL

    시간이 포갠 풍경, 대전

    대전 테미오래에서 과거의 조각을 발견하고, 물방울과 얼음이 쌓은 상소동 산림욕장을 거닐었다.

  • LIFE STYLE

    ‘찐’하게 한잔, 전포카페거리

    부산의 맛과 멋과 흥이 찰랑거리는 전포동으로 간다. 이곳에서 커피는 마시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다.

  • LIFE STYLE

    내 장바구니 속 그림

    그림은 더 이상 ‘그림의 떡’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거래와 투자 대상으로 우리 옆에 바짝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