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그 도시의 말맛

오매나, 산꼬라데이, 모디, 이바구···. 사투리로 쌓아 올린 신기하고 맛깔스러운 놀이터가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UpdatedOn January 26, 2023

  • 오매나 하우스

    광주의 역사적 아이콘 전일빌딩245에 자리한 남도관광센터가 테마별 포토 존, 기념품 숍, 홍보관 등을 단장해 복합 문화 공간 ‘오매나 하우스’로 거듭났다. ‘오매나’는 전라도 지역에서 놀람을 표현하는 사투리이자, 광주시 문화 관광 브랜드 ‘오매광주’의 캐릭터 이름이다. 오매나와 어깨동무하고 인증 사진을 촬영하든, 오매나 캐릭터가 그려진 디자인 소품을 쇼핑하든, 오매나의 안내에 따라 여행 계획을 짜든 오매나 하우스에서라면 한시도 지루할 틈이 없다. 통통 튀는 사투리를 내뱉으며 광주를 누비는 오매나 덕에 여행이 더 행복해진다.

    주소 광주시 동구 금남로 245
    문의 062-223-3631

  • 산꼬라데이길

    자꾸만 발음하고 싶은 ‘산꼬라데이’는 강원도 사투리로 산골짜기를 의미한다. ‘산꼬라데이길’은 김삿갓면 예밀리와 주문리를 잇는 트레킹 코스로, 장장 27.5킬로미터 길이를 자랑한다. 한 번에 완주하기 어려운 만큼 망경대산 능선을 예밀길, 송골길, 굽이길, 솔숲길, 만경사길, 명상길, 광부의 길, 모운동길의 8개 테마로 나누어 걷는 재미를 더했다. 강원도 산골 마을이 그렇듯 호젓하고 투박한 풍경이 내내 마음을 잡아끄는 데다 황금폭포 전망대, 만경사와 불화박물관, 정암약수 등 잠시 들렀다 가기 좋은 볼거리가 곳곳에 늘어섰다.

    주소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예밀리, 주문리 일원
    문의 033-375-8986

  • 문화플랫폼 모디684

    옛 안동역사는 1930년 10월 15일 영업을 시작했으나 2020년 12월 17일 중앙선 개량 사업으로 수송 기능을 새 안동역사에 이관한 채 기억 속에서 스러져 갔다. 다행히 2021년 7월, 안동의 새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문화 정거장으로 부활했다. ‘모두’ ‘함께’를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 ‘모디’에 옛 안동역 주소를 의미하는 ‘684’를 합쳐 이름 지은 까닭이다. 대합실과 맞이방은 전시장과 문화 홀로, 사무 공간은 회의실과 작은 도서관으로, 역 앞 광장은 공연 무대로 진화해 안동 시민과 여행자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주소 경북 안동시 경동로 684
    문의 054-857-8543

  • 이바구길

    부산역에 내리면 광장 쪽으로 직진한다. 곧장 초량교회와 초량초등학교를 지나 168계단에 다다른다. 뾰족한 지붕이 옹기종기 모인 수정동∙초량동 풍경과 부산항대교를 한눈에 품을 때, 비로소 부산에 왔다는 사실이 실감 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이바구길’을 올라야 부산을 제대로 여행했다는 기분이 든달까. ‘이바구’는 경상도 사투리로 이야기를 뜻한다. 피란민과 공장 노동자 등 역사를 건너온 부산 사람들의 이야기가 ‘쌔고 쌘’ 길. 그 길 위엔 산비탈을 뜻하는 ‘까꼬막’이란 이름의 커뮤니티 카페도 있다.

    주소 부산시 동구 초량1동 994-395
    문의 051-440-4284

사투리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제주도는 사투리의 보고다. 거리 곳곳엔 어멍(어머니)과 할망(할머니), 놀멍(놀며)과 쉬멍(쉬며)은 물론 ‘·’(아래아) 자를 품은 간판이 아무렇지 않게 걸려 있고, 제주항공은 “손님 여러분, 잘도 반갑수다게”라고 시작하는 제주어 기내 방송을 비정기적으로 송출한다. 강원도의 사투리 사랑도 남다르다. 속초 바우지움 조각 미술관과 강릉 바우길의 ‘바우’는 바위를, 동해 도째비골의 ‘도째비’는 도깨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다. 강릉 사투리 경연대회는 올해 30주년을 맞이한다. 그런가 하면 안내문에 사투리를 넣어 눈길을 끄는 곳도 있다. 충북 제천 자드락길 위에는 “이 길로 올라가셔야 수월하대요~ 믿어 봐유~”라고 적힌 표지판이, 경남 거제 구조리마을 샛바람소리길에는 “보이소”로 시작해 “드가서 댕기 보이소”로 끝나는 안내판이 웃음을 준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강은주
photography ⓒ 남도관광센터, 영월군청, 한국정신문화재단, 한국관광공사

RELATED STORIES

  • TRAVEL

    겨울 호수에서 보낸 시간, 춘천

    물의 도시, 강원도 춘천에서 겨울 한 시절을 보낸다. 의암호, 춘천호, 소양호에 비친 우리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볼 시간이다.

  • TRAVEL

    주민이 초대하는 다정한 여행, 고흥

    고장의 여행 자원을 주민 여행 기획단이 직접 발굴하는 프로그램 ‘노마드 고흥’. 그들의 손길이 닿은 여행 코스를 따라 전남 고흥을 거닐었다.

  • TRAVEL

    시장으로 온 청년들 x 서울 경동시장 청년몰

    시장이 젊어졌다. 전통시장에서 청년이 색다른 도전을 펼치 도록 돕는 ‘청년몰’ 사업 덕분이다. 청년 상인들을 따라 시장 나들이에 나선다.

  • TRAVEL

    끝에서 시작을

    끝이라 끝으로 갔다. 한 해의 마지막이 다가온 즈음, 대한민국 최북단 강원도 고성으로 의미 있는 여행을 떠났다.

  • TRAVEL

    삶 속 예술, 예술 속 삶

    ‘최참판댁’으로 이름난 경남 하동 악양면의 작은 부락, 입석마을. 미술가 하의수와 박인봉 이장, 주민 이성심 도슨트를 따라 마을 구석구석에 스민 예술을 만났다.

MORE FROM KTX

  • TRAVEL

    땅의 끝과 시작, 해남

    육지 가장자리, 전남 해남의 자연이 진실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끝은 항상 시작으로 이어진다는.

  • CULTURE

    백제인의 산수화

  • CULTURE

    묵묵하게 담담하게, 강미선

    수묵화가 강미선은 마음의 풍경을 시간과 자연이라는 화폭에 내놓는다.

  • LIFE STYLE

    로봇 역무원과 미래 기차역에서 만나요

    지난 11월 경기도 광명역에 로봇 역무원이 나타났다. 이를 기획하고 연구한 한국철도공사 최성필 책임연구원과 대화를 나눴다.

  • LIFE STYLE

    쓰는 여행

    한 손은 종이를 누르고 다른 한 손은 필기구를 쥔다. 그러고는 적어 내린다. 생각을, 마음을, 전하지 못한 이야기를. 챗GPT 시대, 우리는 여전히 몸으로 쓰는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