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STYLE MORE+

좋아서 쓰는 물건

친환경 비누부터 제주 흑돼지 소시지까지, 품질로 승부하는 여덟 가지 물건을 소개한다. 모두 장애인 제작자의 여문 손길이 깃든 제품이다.

UpdatedOn March 24, 2022

  • # 향기가_솔솔,
    커피박을 업사이클링하다

    거북이보호작업장_커피점토분말 커피박 수거 사업을 통해 친환경 무독성 점토 분말을 제조하고, 그 점토를 소재로 화분과 필기구 등 공예품을 생산하는 거북이보호작업장. 중증 장애인 작업자를 보호하는 안정적인 고용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과 지구 모두를 생각하는 사려 깊은 점토 놀이를 제안한다.
    문의 070-8291-8070
    웹사이트 www.거북이보호작업장.kr

  • #한_장의_종이,
    지속 가능한 독서대가 되다

    그레이프랩_g스탠드 단 한 장의 재생 펄프로 이토록 가볍고 아름다운 휴대용 멀티 독서대를 만들 수 있다. g스탠드는 최소한의 자원과 기술을 사용하고, 독창적 감각을 지닌 발달장애 청년과 상생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그레이프랩의 첫 번째 작품이다. 펼친 독서대는 작게 접으면 전용 케이스에 쏙 들어간다.
    문의 070-8807-2413
    웹사이트 www.thegrapelab.org
     

  • #60그램의_행복,
    여행 가방이 가벼워진다

    동구밭_Better than Liquid 여행용 키트 친환경 여행을 시도해 보고 싶다면 식물 유래 성분으로 만든 샴푸바, 린스바, 페이셜&바디바가 담긴 여행용 키트로 첫걸음을 떼도 좋겠다. 재생 펄프로 만든 포장재까지 포함해 고작 달걀 한 개 무게인 60그램이다.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도모하는 사회적 기업 동구밭에서 만들었다.
    문의 070-4282-9626
    웹사이트 donggubat.com

  • #추억의_쫀드기,
    고단백 간식으로 거듭나다

    리하베스트_헤이쫀 식혜와 맥주 제조에 사용하는 보리를 가루로 만든 뒤 자일로스와 곤약을 더해 완성한 친환경 고단백 간식이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활용하는 식품 업사이클 전문 업체 리하베스트가 선보이는 제품으로, 발달장애인 작업자에게 검수를 맡기는 플랫폼 ‘사랑의 새싹’을 운용한다.
    문의 070-8098-7753
    웹사이트 www.reharvestshop.com

  • #제주산_소시지,
    더 맛있게 즐기는 법

    제주맘_뉴른베르거 소시지 제주 흑돼지와 달큰한 제주산 양파, 직접 기른 각종 채소를 잔뜩 투하해 완성한 뉴른베르거 소시지는 원료 본연의 풍미에 충실하다. 직접 메주를 띄워 빚은 간장으로 간을 조절해 텁텁하거나 짜지 않아 맛깔스럽다. 제주맘은 중증 장애인 작업장 평화의마을이 론칭한 제주 흑돼지 소시지 브랜드다.
    문의 064-794-6277
    웹사이트 peacevill.cafe24.com

     

  • #너랑_나랑_찻자리,
    차와 도예의 만남

    천마도예의 숲_2인 다기 혼합 발달장애인과 더불어 일하는 천마도예의 숲은 도자기와 우엉차를 만드는 기업이다. 이곳의 스테디셀러인 순수다관과 다기잔 2점, 유리병에 담긴 우엉차 70그램을 한 꾸러미에 담아 소담한 2인 다기 혼합 세트를 마련했다. 좋아하는 이와 함께 조촐한 찻자리를 꾸리기에 완벽한 구성이다.
    문의 051-246-4084
    웹사이트 www.chunmavrc.com

     

  • #특별한_디자이너,
    세상의 경계를 허물다

    키뮤스튜디오_키톡 발달장애인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를 녹여 낸 엽서·포스터·양초·스티커 등을 생산하고, 원화 작품인 ‘아트 시그니처’를 판매하는 키뮤스튜디오. 사용감이 좋은 그립톡 ‘키톡’의 알록달록한 색감은 보는 이를 언제나 즐겁게 한다. 같은 디자인의 휴대전화 케이스와 세트로 사용해도 좋다.
    문의 070-4159-6789
    웹사이트 www.kimustudio.com 

  • #건강한_먹거리,
    희망찬 밥 한 그릇

    희망일터_희망 선물세트 희망일터는 밥맛 좋기로 유명한 강화섬쌀을 판매하는 중증 장애인 생산 시설이다. ‘삼광’이라는 우수 품종을 사용해 품질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백미, 현미, 찹쌀, 혼합곡 등을 산뜻한 패키지로 한데 구성한 희망 선물세트는 특별한 이에게 마음을 전하는 뜻깊은 선물이 될 것이다.
    문의 032-937-6801
    웹사이트 www.welfarehope.com 

+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2022년 4월 20일은 제42회 장애인의 날이다. 장애인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비장애인에게는 장애에 대한 이해를 독려하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이다. 올해도 장애인의 날을 맞아 참여와 평등의 가치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강은주

RELATED STORIES

  • LIFE STYLE

    철도를 넘어 여행을 아우르다

    탁월한 기획력과 살뜰한 서비스 정신으로 최고의 기차 여행을 완성하는 곳, 한국철도 관광사업처 관광기획부가 일군 결실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 LIFE STYLE

    여름, 단오, 강릉

    짙푸른 바다와 시원스러운 남대천, 단오의 흥겹고 달큼한 공기를 오래도록 떠올리게 할 강원도 강릉의 물건들을 모았다.

  • LIFE STYLE

    여름이니까~ 아이스크림

    더위, 비켜! 네 명의 에디터가 특이한 아이스크림을 모아 먹어 봤다.

  • LIFE STYLE

    영등포역에서 문래역까지, 숨은 맛집 찾기

    과거 공장과 철공소가 즐비했던 서울 영등포역과 문래역 일대. 그 사이사이로 색다른 미식 공간이 생겨나 발견하는 재미가 있다.

  • LIFE STYLE

    세상 모든 재료를 위하여

    한국과 덴마크, 호주를 오가며 요리를 익힌 B3713의 정혜민 셰프는 재료를 존중하는 것에서 코리안 노르딕 퀴진이 출발한다고 믿는다.

MORE FROM KTX

  • TRAVEL

    빛, 온기, 울주

    간절곶에서 해가 떠오르자 어둡던 모든 땅이 밝아졌다. 울산 울주가 날마다 세상에 전하는 이야기를 들었다.

  • LIFE STYLE

    쓰레기가 사라질 때까지 줍깅

    곱디고운 하천에 쓰레기가 무슨 말일까. 걸으며 쓰레기를 주워 담는 줍깅을 에디터 4명이 실천했다. 물처럼 곱디고운 순간이었다.

  • CULTURE

    기계의 풍경, 인간의 꿈 최우람

    꿈틀거리는 기계 생명체 작품을 창조해 온 최우람은 이야기한다. 기계에 어린 욕망을 바로 보면서 우리 함께 나아가자고.

  • LIFE STYLE

    “혁신의 한국철도가 되겠습니다”

    지난해 11월 26일 취임한 나희승 한국철도 사장을 만나 포부를 들었다.

  • TRAVEL

    광주는 언제나 축제

    올봄, 광주비엔날레를 시작으로 이 도시의 모든 계절은 축제가 된다. 예술적 감흥이 빛처럼 나부끼는 땅, 광주의 동서남북 구석구석을 누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