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ULTURE MORE+

사유의 방

국립중앙박물관이 ‘사유의 방’을 조성해 반가사유상 국보 두 점을 나란히 전시한다.

UpdatedOn December 23, 2021

3 / 10
/upload/ktx/article/202112/thumb/49838-475647-sample.jpg

ⓒ원오원 아키텍스

ⓒ원오원 아키텍스

사유의 방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
‘사유의 방’은 삼국시대에 제작한 국보 반가사유상 두 점을 나란히 전시한 공간이다. 이전에는 두 점의 국보 반가사유상을 교대로 전시했는데 이제 ‘사유의 방’에서 함께 볼 수 있다. 박물관은 이 전시실을 조성하면서 최초로 건축가와 협업해 반가사유상의 에너지와 전시 공간이 하나가 되어 어우러지도록 했다. 전시실의 기울어진 벽과 바닥, 천장은 현실을 벗어난 듯 초현실적 느낌을 자아내고, 별을 닮은 천장의 은은한 빛은 우주의 무한한 공간을 상징한다. ‘반가(半跏)’란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반결가부좌의 자세를, ‘사유(思惟)’는 얼굴에 손을 살짝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 모습을 뜻한다. 삶에 대한 깊은 고민과 깨달음을 담은 반가사유상의 미소는 사유의 여정 끝에 도달한 깨달음의 찰나를 보여 준다.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 ‘사유의 방’ 에서 특별한 경험의 여정을 시작하길 바란다.
문의 02-2077-9000 www.museum.go.kr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riter 신소연(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RELATED STORIES

  • CULTURE

    영원한 삶을 위한 선물 - 상형 토기

  • CULTURE

    세상 끝 다정한 바다

    소설 <재와 물거품>으로 이름을 알린 김청귤 작가가 연작소설 <해저도시 타코야키>로 돌아왔다. 그가 상상하는 환상적인 세계에 대해 물었다.

  • CULTURE

    게임 음악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단순한 비트로 이뤄지던 게임 음악이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진화했다. 예술로 거듭난 게임 음악 세계를 파헤친다.

  • CULTURE

    아이는 우리의 희망 - 김홍도의 ‘자리 짜기’

  • CULTURE

    비누, 사라짐으로써 존재하기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박제한다. 더없이 찬란한 지금을 위해, 신미경은 비누라는 이름의 시간을 조각한다.

MORE FROM KTX

  • ARTICLE

    따스한 소리가 들리는

    한국 마지막 비둘기호가 달린 강원도 정선선. 지금도 나전역은 마음 다독이는 소리가 울린다.

  • CULTURE

    우주, 나, 빠키

    아티스트 빠키는 색, 선, 면으로부터 폭발하는 에너지를 사랑한다. 그것이 열반의 풍경과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

  • LIFE STYLE

    쓰레기가 사라질 때까지 줍깅

    곱디고운 하천에 쓰레기가 무슨 말일까. 걸으며 쓰레기를 주워 담는 줍깅을 에디터 4명이 실천했다. 물처럼 곱디고운 순간이었다.

  • CULTURE

    작은 생물과 정을 나누는 ‘생물인’ 유튜버 정브르

    지난해 11월 <정브르의 곤충일기>를 펴낸 유튜버 정브르와 이야기를 나눴다.

  • LIFE STYLE

    당신의 마음을 채울 편의점 도시락

    고물가 시대, 저렴하고 알찬 도시락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세 에디터가 도시락을 모아 시식했다.